
“난 너와 함께 놀 수 없어.”
여우가 말했다.
“나는 길들여져 있지 않으니까.”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 거지?”
어린 왕자가 물었다.
”참을성이 있어야 해.”
여우가 대답했다.
“우선 내게서 좀 떨어져서 이렇게 풀숲에 앉아 있어. 난 너를 곁눈질해 볼 거야. 넌 아무 말도 하지 말아. 말은 오해의 근원이지. 날마다 넌 조금씩 더 가까이 다가앉을 수 있게 될 거야……”
다음날 다시 어린 왕자는 그리로 갔다.
“언제나 같은 시각에 오는 게 더 좋을 거야.”
여우가 말했다.
“이를테면, 네가 오후 네 시에 온다면 난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시간이 갈수록 난 점점 더 행복해지겠지. 네 시에는 흥분해서 안절부절못할 거야. 그래서 행복이 얼마나 값진 것인가 알게 되겠지! 아무 때나 오면 몇 시에 마음을 곱게 단장을 해야 하는지 모르잖아. 의식(儀式)이 필요하거든.”
“의식이 뭐야?”
어린 왕자가 물었다.
여우가 말했다.
“그건 어느 하루를 다른 날들과 다르게 만들고, 어느 한 시간을 다른 시간들과 다르게 만드는 거지. 예를 들면 내가 아는 사냥꾼들에게도 의식이 있어. 그들은 목요일이면 마을의 처녀들과 춤을 추지. 그래서 목요일은 신나는 날이지! 난 포도밭까지 산보를 가고. 사냥꾼들이 아무 때나 춤을 추면, 하루하루가 모두 똑같이 되어 버리잖아. 그럼 난 하루도 휴가가 없게 될 거고……”
여우가 말했다.
“하지만 넌 그것을 잊으면 안 돼. 너는 네 장미에 대해 책임이 있어…..”
“나는 장미에 대해 책임이 있어……”
어린 왕자는 잊지 않도록 되풀이해서 말했다.
문득 묻고는 합니다.
“성실하게 보낸 오늘 하루에 여전히 서운함이 남는 이유는 무엇이냐?”
그것은 오늘 나의 하루 속에 내가 길들이고 있는 여우가 없기 때문입니다. 매일 매일 같은 시간에 만나 길들이고 있는 나만의 여우가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