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mark_border이유 있는 미술 시간 3 – 5

2025-15-100

K-MOOC : 이유 있는 미술 시간

3. 미켈란젤로의 천재적인 창조성

미켈란젤로, 시스티나예배당천장화(ceiling of the Sistine Chapel)
1508~1512, 로마 바티칸 궁 시스티나 예배당

4. 독특함과 애매모호함의 예술, 매너리즘

5. 서민의 등장, 달라지는 그림

벨라스케스 시녀들 (1657)

bookmark_border이유 있는 미술 시간 2

2025-4-100

K-MOOC : 이유 있는 미술 시간

2장 – 미술의 부활, 르네상스

르네상스여명기3인방

  • 지오토 (1267년경-1337)
  • 성프란체스코 (1182-1226)
  • 단테 (1265-1321)
  • 같은시기 우리나라 고려청자

선원근법을 발명한 건축가 브루넬레스키

브루넬레스키 피렌체대성당의 돔(Dome of Florence Cathedral)
1420~1436 피렌체

젊은 나이지만 주옥같은 그림을 남긴 천재화가 마사치오

마사치오
성삼위일체(The Holy Trinity)
1428년 경

중세와는 다르게 스스로 설 수 있는 인간의 모습을 만들어낸 조각가 도나텔로

도나텔로
다비드(David)
1430~1432
청동
도나텔로
막달라마리아
(Mary Magdalene)
1454~1455
나무

bookmark_border이유 있는 미술 시간 1

2025-3-100

K-MOOC : 이유 있는 미술 시간

1장 – 시대의 변화와 의자

신고전주의 화가, 다비드의 의자

쟈크 루이 다비드 (1748~1825)

  • 쟈크 루이 다비드 (1748~1825)
  • 질서 있고 조화로운 아름다움
  • 프랑스 혁명정신 + 칸트의 보편적 진리 (관념론) + 계몽정신
  • 지나친 정치적 성향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 (1780~1867)

  • 다비드 제자
  • 신고전주의. 절제미의 등장

초현실주의 화가, 마그리트의 의자

  • 사회상 –제 1차, 2차 세계대전
  • 철학적 배경 –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의 등장, 의식과 무의식의 흐름
  • 이성 강조에서 비이성으로
  •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 소설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서로 다른 시기의 생각과 감정을 무작위로 쏟아내는 내면의 이야기
  •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 1896~1966) ‘자동기술법(Automatism)’
    • 자유로운 의식의 흐름을 발견

초현실주의 미술운동

• 뉴욕다다에서 ‘샘(Fountain)’ 발표
• 아폴리네르가 이 흐름을 ‘초현실주의’로 명명


마르셀뒤샹, 샘
1917, 기성품,
원본작품 소실로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재현

초현실주의의 영향

잭슨폴록–’액션페인팅’
미국 추상 표현주의 시작

  • Uncanny
    • ‘묘한, 이상한’
    • 묘한, 이상한결합이 초현실주의 운동의 시작

조르조 데 키리코(1888-1978)

조르조데키리코
1914, 캔버스에유화, 59.4×73cm,
뉴욕현대미술관

막스 에른스트(1891-1976)

르네마그리트, 나이팅게일에협박당한두아이,
1924, 나무위에유화, 69.8×57.1cm, 뉴욕현대미술관

살바도르 달리(1904-1989)

기법의 이해

  • 콜라주
  • 프로타주
  • 데칼코마니

데페이즈망(depaysement)

르네 마그리트, 듣는방,
1952, 캔버스에유화, 55x45cm,
휴스턴메닐미술관

  • 르네 마그리트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
  • 자유연상(프로이드) + 초현실주의(브로통)
  • Displacement
  • 엉뚱한 장소에 엉뚱한 사물
  • 낮선 장소에 낮선 크기
    • 새로운 의미의 창출
    • 원래의 실용성과 가치를 제거
키리코, 우울한출발
1914, 캔버스에유화, 140 x184.5cm
뉴욕현대미술관

르네 마그리트(1898~1967)

  • 사실적 묘사력이 뛰어남
  • 대가 작품 모작(위조지폐제작?)
  • 어린 시절 트라우마
    • 13세 엄마의 자살
    • 본인은 방에 갇혀있음
    • 우울한 엄마와의 어린시절
  • 강박적 기억 표현
피레네 산맥의 성(1959), 이미지의배반(1928~1929),잘못된 거울(1928)
연인들(1928), OOO, 투시도(자화상)(1936), 인간의 상태(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