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 결정론, 숙명론, 블록우주이론 : 결정론 : 미래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가?
- 안드로메다 패러독스 : 아인슈타인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 데이비드 루이스 : 시간여행의 정의
- 인공지능은 생각하는가? : 존 설 : 중국어 방 논증
- 우연처럼 보이는 필연 : 칼 융 : 동시성 현상과 홀로그램 우주이론
- 과학전쟁 : 앨런 소칼 : 지적 사기
결정론, 숙명론, 블록우주이론 : 결정론 : 미래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가?

내가 심고 가꾸어 가는 작은 숲
동굴안 | 동굴밖 |
---|---|
현실세계 감각으로 경험하는 가시계(Visible) 사물을 눈에 비치는 대로 잘못된 인식 |
이데아 세계 이성으로 인식하는 가지계(Intelligible) 사물을 있는 그대로 참된 인식 |
독사(Doxa) | 에피스테메(Episteme) |
절대적 보편적 진리 |
쿤의 패러다임 | 푸코의 에피스테메 |
---|---|
과학(물리학)에 적용 |
과학, 철학, 문화 등 모든분야에 적용되는 인식 체계 |
의식적 작용 | 무의식 속에서 작동 (알아채지 못함) |
나름 합리적 기준으로 선택 | 합리적 기준 없음 |
비슷한 동물끼리 묶기
고양이과 동물 vs. 사육가능한 동물
"비둘기는 공기의 저항이 없으면 더 잘 날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 공기가 없으면 비둘기는 날 수 조차 없다."
“All things being equal, the simplest solution tends to be the best one.”
William of Ockham
인간에게 영혼은 존재하는가? | 존재한다 육체 + 영혼 실체 이원론 |
존재하지 않는다 육체 실체 일원론(물리주의) |
|
심적 속성은 물리적 속성으로 환원되는가? | 환원 안된다 속성 이원론 |
환원 안된다 속성 이원론 비환원적 물리주의 |
환원 된다 속성 일원론 환원적 물리주의 |
시간이란 무엇입니까?
아무도 묻는 이가 없으면
나는 그것을 아는 것 같지만,막상 누가 물어 대답을 하려면
아우구스티누스 – 고백록
말문이 막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