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가 간장 속에 반쯤 몸을 담그고 엎드려 있다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 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바둥거렸으리라 바둥거리다가 어쩌할 수 없어서 살 속에 스며드는 것을 한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안도현 – 참 나쁜 시인이다.
내가 대학총장이라면 눈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How to use your eyes)에 대한 필수과목을 만들겠어요. – 헬렌켈러
언젠가는
내 삶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깨닫는 순간이 올 것이다 그땐 내가 지금 이 자리에 있었다는 기억 때문에 슬퍼질 것이다
수많은 시간을 오지 않는 버스를 기다리며 꽃들이 햇살을 어떻게 받는지 꽃들이 어둠을 어떻게 익히는지 세상을 외면한 채 한 곳을 바라보며 시내버스를 기다렸다는 기억에 목이 멜 것이다
때로 화를 내며 때로 화도 내지 못하며 무엇인가를 한없이 기다렸던 기억 때문에 마지막 순간에 목이 멜 것이다
내가 정말 기다린 것들은 너무 늦게 오거나 아예 오지 않아 그 존재마저 잊혀지던 날들이 많았음을 깨닫는 순간이 올 것이다
기다리던 것이 왔을 때는 상한 마음을 곱씹느라 몇 번이나 그냥 보내기도 하면서 삶이 웅덩이 물처럼 말라버렸다는 기억 때문에 언젠가는
– 조은, [언젠가는]중에서
호학심사(好學深思) 너무 많이 보려 하지 말고, 본 것들을 소화하려고 노력했으면 합니다.
아빠가 부탁이 있는데 잘 들어주어 밥은 천천히 먹고 길은 천천히 걷고 말은 천천히 하고 네 책상 위에 ‘천천히’라고 써 붙여라
– 서영이에게 중에서 (수필집 ‘인연’, 피천득)
현재
카레닌에게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은 순수한 행복이었다. 그는 천진난만하게도 아직도 이 세상에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진심으로 이에 즐거워했다.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중에서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도를 도라고 하면 도가 아니고, 이름을 이름이라 하면 이름이 아니다.
다섯가지 맛이 사람의 입맛을 상하게 한다. – 도덕경 제12장 짜장은 어떤맛 ? -> 짠맛, 감칠맛 김치는 어떤맛 ? -> 짠맛, 매운맛 프랭글스는 어떤맛 ? -> 짠맛 자, 그럼 내가 생각하고 있는 짠맛은 어떤 음식일까? ==> 다섯가지 맛은 맛을 쥐꼬리만큼도 표현할 수 없다.
MZ 세대 ? MBTI ? ==> 복잡한 세대를 조금도 표현할 수 없다.
‘MZ세대’라는 단어를 쓰는것 자체가 문제 될 건 없잖아? ==> 문제가 된다. ==> 당신이 이 단어를 말하는 순간 진짜 ‘MZ’ 세대를 알 수 없게 됩니다.
말하지 말고 생각하지 마라 그 어떤 것이든 함부로 규정(말)하지 말고 그 어떤 사람도 함부로 판단(생각)하지 마라. 이념과 개념은 실제를 담아내지 못하는 망상임을 깨닫고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느끼는 것
정의 내리고 구분지려는 것은 인간의 특 여자, 남자 586, 급식, MZ 국가, 지역 취미, 직업, 재력, 종교, 학벌, 지위 우리는 이러한 미천한 잣대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를 포기하고 있습니다.
무위이무불위 (無爲而無不爲) 무위를 행하면 되지 않는 일이 없다.
위도일손 (爲道日損) 도라는 것은 하루 하루 덜어내는 길 보물이 산더미처럼 있어도 꽉찬 가방에는 아무것도 담아낼 수가 없다.
손지우손 이지어무위 (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덜어내고 덜어내서 무위에 다다르라 우리가 머릿속에 망상을 덜어내고 덜어낸다면 그리하여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된다면 우리는 세상에서 정말로 무엇이든 해낼 겁니다.
더 간결하고 조화롭게 균형잡힌 설명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 대칭으로 찾음. – ‘양자색역학’ QCD : 맥스웰의 방정식에 색을 입힘. – 쿼크나 글루온은 절대로 독립적으로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실험으로 밝힐 수 없었다. – 과감한 ‘상상력’이 필요했다. – 균형있고, 조화롭고, 간결한 진실이 있다고 생각하려 노력하였다. ==> 노벨상
4강. 물리 법칙의 이상형, 대칭
대칭 (Symmetry)
인간은 ‘대칭’을 좋아합니다. – 대칭적인 건물, 장식, 성당 – 프랙탈 – 균형과 매력을 느낌
진화는 ‘대칭’을 좋아합니다. – 캡시드, 바이러스의 대칭적 구조 – 나무의 프랙탈 구조 –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왜 대칭적일까?
단순한 성장 법칙이기 때문이다. 즉, 자연의 기본 작동 방식에 대칭의 원리가 있다. – 결정체를 수학적으로 연구해보면 알 수 있다.
양자역학과 대칭
‘대칭’ 이란 ? – 대칭이란 ‘변화 없는 변화‘ 이다. – 사각형, 삼격형을 돌리면 다시 제자리로 간다. 대칭성이 있다. – ‘변화 없는 변화’는 물체가 도형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법칙, 방정식에도 적용되는 개념이다. – 맥스웰의 방정식 – 양자 색역학, 글루온 – 상상으로 대칭성을 알아냄.
5강. 이 세계는 아름다운가 ?
‘시간 역전’ – 시간이 거꿀로 흐른다고 가정해도 같은 법칙에서 나온다는 것 – 거꾸로 움직이는 영화를 똑같은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 거시세계에서는 이상하게 보이지만, 지극히 작은 세상에서는 시간이 어느쪽으로 흐르든 법칙이 똑같다.
질문1. 그런데 왜 현실은 다르게 보이는걸까? –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의 증가 – 빅뱅 이후 비대칭으로
질문2. 그런데 왜 물리학 법칙은 대칭적일까? – K 중간자 연구, 시간 역전, 엑시온 – 법칙을 더 아름답게 만들려고 입자를 추가, 결과는 훌륭, 엑시온 생성 – 이 엑시온을 암흑물질로 볼 수 있다. 엑시온이 암흑물질인지는 연구중.
놀이
나는 그저 ‘방정식을 갖고 놀며 결과를 관찰할 뿐’이다. – 폴 디랙 (1902~1984)
나도 그랬고 나의 놀이 같은 상상이 실제 물질로 나타났다. – 프랭크 윌첵
세상이 날 어떻게 보든 난 내가 지식의 광활한 바닷가를 거니는 아이라고 생각한다. 난 드넓은 미지의 바다 앞에서 간혹 반짝이는 조약돌을 찾고 즐거워 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