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논리적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검지 않은 모든 것은 까마귀가 아니다 : 헴펠 : 까마귀의 역설
- 과학 철학자 : 칼 포퍼, 토마스 쿤, 구스타프 헴펠
- 가설 연역적 방법
- 헴펠
- 과학이론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모델 제시

- 문제가 없어 보이나, 하나의 문제가 발생 : 까마귀의 역설
- 까마귀의 역설
- 대우명제 (둘다 참)
- 모든 까마귀는 검다 <–> 모든 검지 않은 것은 까마귀가 아니다.
- 모든 검지 않은 것은 까마귀가 아니다
- 단 한마리의 까마귀를 조사하지 않고도 이는 참으로 결론 낼 수 있는가?
- 조금 이상하지만 헴펠을 ‘그렇다’고 주장
- 이상하게 보이는 것은 심리적인 착각때문
- 반대하는 과학자
- 이 두 논리는 논리적으로는 동치이지만 과학적 맥락에서 보면 서로 다른 명제일뿐이다.
말이 안 되는 말은 말인가? 말이 아닌가? : 논리적 오류
언어적 오류
- 애매어의 오류
- “인간은 모두 죄인이야. 그러니까 감옥에 가야해”
- 원죄와 현행법상의 죄를 애매하게 섞어 사용
-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 “세상은 약육강식이야.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거야”
- 마치 강자가 자본가를 지칭하는 것처럼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정당화
- 자가당착의 오류
- “아래 문장은 참이다”
- “위의 문장은 거짓이다”
- 애매한 문장구조에 의한 오류
- 강조의 오류
- 앞과 뒤의 말을 잘라먹고 특정 멘트만 강조해서 발생하는 오류
- 사용, 언급 혼동의 오류
- “빨리 논문을 써야지”
- 논문, 논문, 논문을 쓰는게 아님.
- 범주의 오류
- 다음 중 잘못된 부분은?

- 다른범주에 속하는 단어를 같은 범주에 속하는 단어로 혼동하는 것
- 비유의 오류
- 정의에 의한 존재 강요의 오류
- “북극곰이 펭귄을 먹고 산대”
- 북극곰은 남극의 펭귄을 먹을 수 없음.
- 술어를 실체어로 여기는 오류
- “신은 사랑이다”
- 마치 신이 사랑과 동일어인것처럼 온동
심리적 오류
- 힘에 의거한 오류
- 연민에 호소하는 오류
- 군중에 호소하는 오류
- 잘못된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 인신 공격의 오류
- 니체 – 소크라테스는 얼굴 자체가 논리적 오류
- 정황적 오류
- 결과 배제의 오류
- 피장 파장의 오류
- 원천봉쇄의 오류
- 발생학적 오류
- 발생과정을 문제 삼는것
- “너 어떻게 일본 그림을 좋아할 수 있냐?”
-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
- 감정이 실린 말을 사용하는 오류
자료적 오류
-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 무지에 의거한 오류
- 외계인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존재하지 않는다.
- 의도 확대의 오류
- 반사실적 가정의 오류
- 연쇄반응의 오류
-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를 보고 내 아들이 게이 되어 에이즈로 죽으면 방송국이 책임져라.
- 잘못된 딜레마의 오류
- 문제를 흑과 백, 선과 악, 득과 실로만 구분하고 중립을 인정하지 않는 것
-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 창조론자들이 과학을 안 믿는 사람들이라고 왜곡해 공격하는 것
- 특별 변론의 오류
- 복합 질문의 오류
- 질문 속에 숨겨진 어떤 결론이 참이라는 것을 전제로 질문
- “너 강도질한 돈 유흥비로 다 썼지?”
- 결합의 오류
- 하찮은 클립으로 만든 것이 어떻게 예술이 될 수 있겠어?
- 분해의 오류
- 논점 일탈의 오류
- “엄마 저 장난감 사줘”
- “집에 빨리 가자. 아빠가 맛있는거 사온데”
- 자연주의적 오류
- ‘~이다’ 에서 ‘~하여야 한다’는 당위 판단 도출
- “동성애는 자연스런운 감정이 아니다. 따라서 동성애를 하면 안돼”
- 도덕주의적 오류
- “남녀를 차별하면 안 돼”
- “여자도 군대 생활을 할 수 있어”
귀납 논증의 오류
-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 근시한적 귀납의 오류
-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이건 진화론의 증거다, 아니다 이건 창조론의 증거다.
- 거짓 원인의 오류
- 도박사의 오류
- 20번째까지 짝수가 나왔다고 21번째 홀수가 나올 확률이 높은 것은 아니다.
- 결합의 오류
- 구체적일 경우 확률이 더 높다고 추정하는 오류
- “2018년 미스유니버스인 미스 필리핀은 모델일까요? 모델겸 가수일까요?”
- 잘못된 유비의 오류
- 히틀러와 마르크스가 변화를 강조했으므로, 변화를 강조한 오바마도 사회주의자다
- 공통 원인 무시의 오류
- 인과 전도의 오류
- 지나치게 단순화한 인과관계의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