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논리적 방법이란 무엇인가?
편견에서 벗어나기 : 베이컨 : 4개의 우상론
- 프랜시스 베이컨 (1561~1626)
- 베이컨의 4개의 우상
- 「신기관Novem Organum」
-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책 「기관Organum」을 대체하는 새로운 논리학 제시
- 두가지 주장
- 낡은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자
- 새로운 과학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귀납법을 표준적 방법론으로 사용하자
- 중세학문이 현학적, 종교적 권위, 자만, 신비주의 , 미신에 빠져 있기에 기존 학문과 단절해야 하며 4가지 우상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
- 종족의 우상
- 인간의 관점에서 세계를 바라봄
-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어떤행위를 하다보니, 자연도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 있음.
- 동굴의 우상
- 인간은 자신만의 동굴 속에 살고 있다
- 인간은 (성향, 습관, 배경, 교육에 따라) 자신만의 선입견과 편견을 가지고 있다.
- 시장의 우상
-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기는 왜곡된 인식
- 어떤 개념에 대해 자꾸 말하다보면 실재로 존재하는 것처럼 착각
- ‘운명의 여신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를 들으면 운명의 여신이 존재하는 것으로 착각
- 극장의 우상
- 전통이나 권위에 대한 맹목적 믿음으로 생기는 왜곡된 인식
-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천상의 세계는 영원불변하고 완전하다’에 누구도 토를 달지 못했다.
- ‘아이슈타인에 따르면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
논리적 사고, 과학적 방법 1 : 연역(feat.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갈릴레오)
- 논리학
- 지식을 산출하는 학문이 아니라 지식을 산출하는 방법에관한 학문
- 지식을 산출하는 방법이 적절한지를 따지는 학문
- 논리학이야말로 철학의 정수
- 철학의 본질은 메타적인 사고
- 철학적인 사유에 대해 다시 철학적으로 사유
- 이미 알려진 사실로 부터 새로운 사실을 도출
- 이러한 과정이 추리 또는 추론
- 추리와 추론을 객관화하여 명제로 기술 : 논증
- 논증
- 연역논증
- 삼단논법

- 타당한 논증이라고 항상 참이지 않는다.

- 귀납논증

- 귀납의 문제
- 지금까지 모든 인간이 죽었다고 해서 먼 미래까지 모든 인간이 죽는것은 아니다.
- 검은백조 문제
- 확률일뿐 100% 참은 아니다.

-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의 구분
- 데카르트의 수학적 연역법
- 유클리드의 기하학에서의 공리

- 직선의 맞꼭지각은 같다.
- 데카르트가 철학하는 법
- 수학적 연역법과 비슷
-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명제

- 이 공리로 부터 지식을 하나하나 쌓아 올리고,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수학적 지식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고,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
- 갈릴레오의 실험적 연역법
- 실험적 연역법
- 수학적 연역법에 실험을 가미
- 가설의 설정은 연역적, 가설의 검증은 귀납적
- 물체의 낙하 검증
- 무거운것이 먼저 떨어진다?

- 이게 좀 이상함. 1Kg이 떨어지는 것을 방해. 모순
- 실험전에 이미 알 수 있음.
- 실험으로 검증.
논리적 사고, 과학적 방법 2 : 귀납(feat. 베이컨, 밀, 러셀, 흄)
- 베이컨과 밀의 귀납법
- 연역법은 전제가 참이면 필연적으로 결론이 참인 논증?
- 전제가 암시적으로 결론을 포함하고 있다.
- 이는 새로운 지식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 베이컨은 연역법으로는 과학을 할 수 없다고 생각
- 베이컨의 귀납법

- 밀의 귀납법
- 일치법

- 차이법

- 귀납법의 한계
- 검은 백조
- 버트런드 러셀(1872~1970)
- 귀납으로는 100퍼센트 확실한 일반법칙을 이끌어 낼 수 없다.
- 과학법칙도 100퍼센트 확실한 법칙이라고 할 수 없다.
- 귀납의 한계에 대한 반론
- 뉴턴의 작용-반작용에 반하는 사례가 있는가? 에너지보존의 법칙에 반하는 사례가 있는가? 그런데 왜 과학법칙도 확실한 법칙일 수 없다는것인가?
- 수정구슬
- 네 메시지가 정말로 진실이니?
- 그럼요. 내 메시지는 모두 진실이예요.
-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Begging the Qustion)
- 흄
- 그렇다고 귀납법을 버릴것인가?
- 우리가 귀납법을 믿을 만한 이유는 없지만, 갓 부화한 거북이 본능적으로 바다로 가듯, 인간이 본능적으로 귀납법을 맹목적으로 믿을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