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mark_border셧업앤댄스

“원준아,
에어로빅은 어때?
재밌어?”

“아니 재미없어
근데 할거야” – 64화

“사실… 에어로빅은 별로 하고 싶지도 않았고
재미도 없고
좀 창피하다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우리가 하기로 했으니까
끝까지 멋지게 최선을 다하는거야!” – 마지막 파이팅을 외치면서. 65화

“너는 고된 인생을 살지도 모르겠다.
상처받아 좌절할 일도 있겠지.
하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끝까지 춤추는 거야.”
– 가네시로 가즈키 (이교도들의 춤中) 66화


가벼운 마음으로 보기 시작했던 셧업앤댄스 웹툰이 마무리를 지었습니다. 청소년기 아이들의 성장 이야기입니다. 가볍던 이야기가 결코 가볍게 끝나지 않았습니다. 꿈에 대한 이야기이고 연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나의 꿈이 무엇이었던가를 생각하게 되고, 지금 나의 꿈은 무엇인가 생각하게 됩니다.

나는 그 꿈을 진짜로 사랑하는가?
내가 정말로 그 꿈을 좋아했던가?
그런데, 나는 왜 지금 웃고 있지 않은가?

춤을 춥니다.
마치 세상에 나 혼자인것처럼 춤을 춥니다.
그냥 춥니다. 끝까지 춤을 추는 겁니다.

묻고 의심하고 의식하는 순간 나의 춤은 흩어지고 무너집니다. 끝까지 춤을 춥니다. 춤판이 끝나면 다시 새로운 춤판이 기다립니다. 그 춤이 잘못된 춤이라면 더 좋습니다. 그 끝에 더 좋은 춤판을 그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나는 지금 추고 있는 춤의 순간 순간에 집중할 뿐입니다. 동작 하나하나에 말이죠.

아이들 하나 하나 문제들을 안고 있습니다. 그 문제들은 다른이가 해결해 줄 수 없습니다. 아이들 스스로 하나 하나 문제를 풀어갑니다.
함께 가면 됩니다. 옆에서 들어주기만 해도 됩니다. 그 문제가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하고 스스로 그 문제들을 대면하며 풀어가면 됩니다.
그러니 나는 그 옆에서 (그와 연대하며) 나의 일을 하고 있으면 됩니다. 그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하는 것입니다.
에어로빅을 함께 배우고, 함께 콜라를 나눠마시며 함께 웃고 떠들면 됩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문제들은 하나 하나 해결되어 가고 있습니다.

bookmark_border담론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 3

5. 톨레랑스에서 노마디즘으로

화동和同 담론
군자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지배하려고 하지 않으며, 소인은 지배하려고 하며 공존하지 못한다. P.79

6. 군자는 본래 궁한 법이라네

정치란 식食과 병兵과 신信의 세가지라고 대답합니다.
부득이 없애야 한다면? 兵 > 食 > 信 순으로
그러나, 관중이라면 信 > 兵 > 食 P.92

다산의 [목민심서]도 그 책명에서 알 수 있듯이 바탕에는 백성을 기른다는 사고가 깔려 있습니다. 식食을 최고의 정치적 가치로 삼고 민民의 욕망과 정서를 승인하는 것이 반드시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관중의 패권논리는 역사적으로 현실 적합성이 입증되었습니다. P.92

오늘날의 민주공화국에서도 직접민주제가 실현되는 나라는 없습니다. 대의제代議制입니다. 대의제는 중간계급을 승인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그 중간계급이 실은 민民보다 인人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리고 중간계급은 경연처럼 최고 권력까지 규제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정치구조를 조금만 들여다보면 보입니다. 예외없이 이러한 계급구조로 짜여 있습니다. 공자와 [논어]가 장수하는 역설적 이유입니다. P.96

“군자도 궁할때가 있습니까?”
자로의 노여운 질문에 대한 공자의 답변은 의외로 조용하고 간단합니다.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 “소인이 궁하면 흐트러지는 법이지.” P.102

7. 점은 선이 되지 못하고

“바다를 본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려워한다.”
큰것을 깨달은 사람은 작은것도 함부로 이야기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P.116

봉생마중 불부이직 (蓬生麻中不扶而直) – 순자
쑥이 삼밭에서 자라면 누가 붙잡아 주지 않아도 곧게 자란다는 뜻입니다. P.119

8. 잠들지 않는 강물

이 장의 결론은 “유有가 이로움이 되는 것은 무無가 쓰임이 되기 때문이다”입니다. 무無란 그냥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의 ‘근본’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인지하지 못할 뿐입니다. P.123